본문 바로가기

Piece of me

콘서타 적정 복용량 찾기(다른 사람들 복용과 실험결과 알아보기)

콘서타를 복용하기 시작하신 분들이라면 누구나 궁금한 것이 있다. 바로 약의 적정량이다.
인터넷을 보면 사람들은 여러약 섞어서 복용하기도하고 두번에 나눠서 복용하기도하고... 그럼...나는?
어떤 방법으로 내게 맞는 복용량을 찾는지, 다른 사람들은 얼만큼 복용하는지! 정확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1. 적정 복용량 찾기 


콘서타를 검색하면 18mg, 27mg, 36mg, 54mg 이렇게 4가지 용량의 서방정(Concerta OROS)이 나온다. 
이 중 무엇이 내게 맞는 용량일까? 오늘은 콘서타를 기준으로 약의 적정량을 찾는 방법을 알아보자.
내게 알맞은 복용량(Optimal dosage)은 적정량, 내게 맞는 복용량을 찾는 방법은 용량 적정(Titration)이라고 한다. 
한국의 FDA,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콘서타의 용량 적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콘서타 서방정(OROS) 의약품 상세 정보 중 용량 적정
콘서타 서방정 용량 적정(출처: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용량적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초기권장량인 18mg을 일주일간 복용했는데 효과가 없거나 부족하다면 18mg을 증량하여 36mg을 복용해보는 것이다. 만약 36mg도 효과가 미비하다면, 그 다음주에는 54mg을 복용하는 식으로 증량을 할 수 있다고 용법·용량에서 기술하고 있다.
 
 
위 방법처럼, 최소 용량부터 최적효과를 볼때까지 증량하는 방법이 가장 빠르고 안전하게 적정 용량을 찾을 수 있는 방법으로 알려져있다. 단위 기간마다 증량을 하고, 부작용이 발생하면 증량을 멈추고 이전 용량을 복용하는 것이다. 약의 효과는 보면서 부작용은 없는(혹은 용인 가능한 수준) 상태로 복용 할 수 있다. 임상실험에서는 위 방법으로 용량 적정하는 경우를 Open-label titration(개방형 적정)으로 부르곤 한다.

*임상실험에서는 피험자에게 정보의 공개여부(복용량 등)가 실험결과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많아서 정보공개여부로 실험을 구분하는 경우가 많다.  실험자(의사)와 피험자(환자)가 모두 복용량을 알고있어야하기 때문에 Open-label로 불리게 된다.

 
 
가장 흔한 부작용으로는 식욕감소, 오심, 불면증 등이 있으니 참고하셔서 자신의 적정량을 찾으시길 바랍니다.

 


 

2. 다른 사람들은 얼마나 복용할까

 

성인 ADHD 환자의 가장 많은 적정 MPH 복용량은 54-60mg/d라는 임상실험 결과가 있습니다.
 
 
콘서타는 메틸페니데이트(methylphenidate, MPH)계의 약입니다. 오랫동안 사용한 약물인 메틸페니데이트는 관련 임상실험 결과들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습니다. 성인 ADHD 환자의 가장 많은 복용량은 54-60mg/d(MPH)입니다. 이 결과가 나오는 임상실험상 결과와 한계를 아래에 소개하겠습니다. 자신의 복용량이 객관적으로 어느 수준인지 판단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서방형 메틸페니데이트 용량 적정결과 (Michael Huss 외 7인, 2014)

첫번째 소개해드릴 임상실험은 서방형 메틸페니데이트(MPH Long-Acting)를 지정용량 복용과 Open-label(순차적 증량)을 번갈아가며 적합한 복용량을 찾는 임상실험이다.(Michael Huss 외 7인, 2014)  위의 그림2(Fig. 2)는 Open-label 결과 값이다. 막대기 안의 값은 인원 수다. 60mg/d가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한다. 20mg/d부터 20mg씩 증량하는 실험이지만 20mg이하는 결과값에 포함되지 않고, 40-80mg의 결과 값만을 가지는 한계가 있다. 
 
 

OROS MPH 복용량 분포도(Lenard A Adler 외 7인, 2011)

두번째 소개해드릴 임상실험은 OROS 메틸페니데이트로 Open label 용량 적정을 실행한 임상실험이다. 일 36mg에서 시작하여 매주 18mg씩 증량하는 실험이다. 최종 복용량 결과는 36-108mg에 분포한다. 54mg/d가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한다. 이 실험 또한 36mg/d에 부작용을 느끼는 피험자는 결과에 반영되지 않았다.

* 초록밖에 볼 수 없어서 가져오지 말까하다가 콘서타로 실험한 것 같아 가져왔습니다. 위의 표 또한 임상실험 초록에 나온 실험을 완수한 피험자 수와 결과비율을 토대로 재구성했습니다.

 

 

<추가>
오래간만에 글을 다시 읽어보니 실험결과에 빠진 20mg/d, 36mg/d 값에 대한 언급이 적은 것 같네요.
그래프를 보시면 알 수 있듯이 54mg/d, 60mg/d을 최빈값으로 정규분포하는 곡선을 그립니다.

이 말은 36mg/d 보다 적게 복용하는 사람의 수는 72mg/d이상으로 복용하는 사람의 수와 비슷할 것입니다.
소량 복용자가 제외되어 어떻게보면 평균 값이 올라가보이는 결과로 작성을 한 것 같습니다. 

 

소량 복용자들이 제외된 이유를 개인적으로 짐작해보자면,

실험대상으로 잡은 "환자(patient)"에 입원하지 않고 처방만 받는 통원 환자는 포함되지 않았거나,

고용량의 약제와 같은 복용방법인 서방정으로 소량을 복용시킬 방법이 마땅하지 않았을 것 같습니다.

다른 사람의 복용량은 참고일 뿐이니, 다양한 복용 옵션이 있는 여러분들은 자신에 맞는 복용량을 복용하시면 됩니다.

올바른 방법으로 자신의 적정 용량을 찾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참조 Referrance:
1. 의약품상세정보: 콘서타OROS서방정18밀리그램(메틸페니데이트염산염) (식품의약품안전처, 2022)
https://nedrug.mfds.go.kr/pbp/CCBBB01/getItemDetail?itemSeq=202005265 
 
2. Open-Label Dose Optimization of Methylphenidate Modified Release Long Acting (MPH-LA): A Post Hoc Analysis of Real-Life Titration from a 40-Week Randomized Trial(Michael Huss 외, 2014)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63863129_Open-Label_Dose_Optimization_of_Methylphenidate_Modified_Release_Long_Acting_MPH-LA_A_Post_Hoc_Analysis_of_Real-Life_Titration_from_a_40-Week_Randomized_Trial
 
3. Long-term safety of OROS methylphenidate in adult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n open-label, dose-titration, 1-year study(Lenard A Adler 외, 2011)
https://pubmed.ncbi.nlm.nih.gov/21192153/